본문 바로가기

연설문

국가보훈부(국문) - 연설문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특별기고> - 대한매일신보(6. 28)
제목 : 국난극복 정신 계승해야 6월 한달동안 이 땅을 뜨겁게 달군 월드컵 축구대회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온 국민이 뜨거운 마음으로 하나되는 모습을 통해 민족의 무한한 저력과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국운융성의 기운을 느낄 수 있었다. 각국 선수들은 자신의 국기 앞에서 국가(國歌)를 부르며 선전을 다짐한다. 이를 보면서 76년전인 1936년 독일 베를린 올림픽대회 마라톤에서 우승하고도 태극기가 아닌 일장기를 가슴에 달고 나라잃은 분을 삭였던 손기정(孫基禎) 옹이 떠올랐다. 공기나 물의 소중함을 미처 깨닫지 못하고 살아가듯이 삶의 터전인 국가공동체가 절실하다는 것을 잊고 살아가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조국이 없다면 태극기를 흔들고 목이 터져라 '대∼한민국'을 연호하며 국가 대표팀을 응원할 수 있었을까? 지금 우리는 물질적 풍요와 자유를 누리고 있지만 세월을 조금만 거슬러 올라가면 이는 상상하기 어려운 꿈이자 간절한 바람이었던 적이 있었다. 일본 제국주의 때문에 나라잃은 아픔을 경험했고 광복의 벅찬 감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아름다운 산하를 피로 물들인 6·25전쟁을 겪어야 했다. 이때 국가와 민족이라는 대의(大義)를 위해 자신을 미련없이 던진 분들이 바로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대한민국의 영광을 만들어 낸 분들이다. 호국·보훈의 달을 앞두고 월드컵과 지방선거가 겹쳐 사회적 관심과 참여 분위기가 약화되지 않을까 우려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번 월드컵을 계기로 오히려 어느 때보다 국민의 단합과 국민적 자부심, 나라사랑하는 마음이 커지는 계기가 되었다. 보훈가족들은 터키, 미국, 프랑스 등 6·25전쟁에 참가한 국가의 선수를 응원하기 위해 '보훈가족 월드컵 응원단'을 구성했다. 우리 국민의 따뜻한 보은의 정을 전세계인과 공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대통령께서는 추모분위기가 부족하지 않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당부한 바 있다. 이례적으로 총리담화문을 발표해 정책적 의지도 표명했다. 총리실 산하에 가칭 '호국·보훈정책 추진기획단'을 설치한 것은 내실있는 보훈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성과다.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앞으로 호국·보훈의 달에 표출된 애국심과 공동체 정신을 계속 이어 나가 우리 사회의 중심가치로 자리매김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과거를 잊는 민족에게는 밝은 미래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말이 있듯이 우리 민족의 자랑스런 유산인 나라사랑 마음과 국난극복의 정신을 소중히 간직하고 계승하는 것이야 말로 희망찬 내일로 가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李 在 達(국가보훈처장)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