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립기념행사

국가보훈부(국문) - 독립기념행사 상세보기 - 행사명, 행사목적, 행사일, 시간, 장소, 주최, 주관, 참석인원, 행사내용, 식순, 주요참석자, 성명, 생년월일, 주요공적, 서훈, 특이사항, 파일 정보 제공
행사명 박열의사 서거 40주기 추모제
행사목적 박열의사 서거 40주기를 맞이하여 선생의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기고 후대에 계승 발전시키기 위함
행사일 2014-01-17
시간 11:00
장소 박열의사기념관
주최 사)박열의사기념사업회
주관 사)박열의사기념사업회
참석인원 200명(주요인사30/일반시민80/학생30명/회원60)
행사내용 ㅇ 개회 및 국민의례<br> ㅇ 내빈소개<br> ㅇ 박열의사 약력 소개(박열의사기념관운영위원장)<br> ㅇ 추모사(기념사업회장, 문경시장, 문경시의회의장, 안동보훈지청장)<br> ㅇ 추모의 글 낭독(함창초등학교 학생대표)<br> ㅇ 헌화분향 및 헌작(내빈) <p>&nbsp</p>
식순 ㅇ 개회 및 국민의례 ㅇ 내빈소개 ㅇ 박열의사 약력 소개(박열의사기념관운영위원장) ㅇ 추모사(기념사업회장, 문경시장, 문경시의회의장, 안동보훈지청장) ㅇ 추모의 글 낭독(함창초등학교 학생대표) ㅇ 헌화분향 및 헌작(내빈)
주요참석자 안동보훈지청장, 문경부시장, 문경시의회부의장, 시도의원, 보훈단체장 등
성명 박렬
생년월일 1902. 2. 3
주요공적 경북 상주(尙州) 사람으로 1919년 경성고등보통학교(京城高等普通學校)에 재학할 당시 3·1독립운동에 가담한 혐의로 퇴학당하고 그해 10월경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東京)의 정칙(正則)영어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21년 5월 동경(東京)에서 김약수(金若水)·조봉암(曺奉岩)·김종범(金鍾範) 등과 흑도회(黑濤會)를 조직하였으나 김약수·조봉암 등의 공산주의와 사상적으로 대립되어 해산하고 장상중(張祥重)·홍진유(洪鎭裕) 등과 흑우회(黑友會)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22년 4월 정태성(鄭泰成) 등 동지 16명과 일본 제국주의 타도 및 악질적인 친일파를 응징하기 위하여 무정부주의를 표방하면서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3년 9월 일본 황태자의 결혼식에 참석하는 천황을 비롯하여 황족과 내각총리대신, 조선총독 등을 폭살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이의 실현을 위해 폭탄을 구하기 위하여 중국 상해(上海)로 동지 김중한(金重漢)을 파송하다가 피체되었다. 이에 1926년 3월 폭살계획으로 인하여 일본
서훈 대통령장 (89)
특이사항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