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여사진

국가보훈부(국문) - 참여사진 상세보기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제목, 내용, 파일 정보 제공
13.99■. 광복절!
작성자 : 송철효 작성일 : 조회 : 1,232
13.99■. 광복절! ●. 개 설 광복절(光復節)은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연합군에 패하여 항복하게 되어 한반도가 일제의 일제 강점기에서 해방된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광복은 문자 그대로는 “빛을 되찾음”을 의미하고 국권을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인다. 1948년 8월 15일의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기념하는 날이기도 하다. ●. 개 요 제2차 세계 대전은 1943년에 접어들면서부터 점차 연합군 측에 유리하게 되어 그해 11월말에 미국·영국·중화민국 3국은 소위 카이로 선언을 발표했다. 이어 1945년 5월에 나치 독일이 항복하였고 8월 8일에는 미국과 영국 소비에트 연방이 모여 포츠담 선언을 발표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드디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을 하였다. 한민족은 카이로 선언과 그것이 다시 확인된 포츠담 선언에 의해서 그리고 한민족의 오랜 투쟁을 통한 민족의 극복에 의해서 일제의 학정으로부터 독립을 맞이하였던 것이다. 1949년 10월 1일〈국경일에 대한 법률〉에 따라 국경일로 지정되어 대한민국에서는 전국적으로 각종 경축 행사가 거행되며 각 가정마다 태극기를 게양한다. 또한 광복회원 및 동반 가족에게는 광복절을 전후하여 전국의 철도·시내버스와 수도권 전철 무임승차, 고궁 및 공원 무료입장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민족해방 기념일로 기념하고 있으나, 그 내용은 본뜻과 무관한 김일성 동지께서 항일의 혈전 만리를 헤치시며 찾아주신 조국해방의 날로 정치적으로 선전한다. 그날 정오에 히로히토 천황의 항복 방송이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당일에 대해 일반적으로는 히로히토 천황의 항복 방송을 들은 군중들이 그날 바로 태극기를 들고 쏟아져 나와 만세를 부르며 환호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그날 거리는 아주 조용하였다고 한다. ●. 내 용 8월 16일 오전 9시 마포 형무소 앞 물론 그날 중대 발표가 있으니 조선인들은 경청하라는 벽보가 나붙었으나 당시 라디오를 가진 조선인들은 많지 않았고, 히로히토 천황의 항복 발표 방송은 잡음이 심했고 어려운 한자가 섞여있던 데다가 결정적으로 이게 그 당시 쓰던 일본어도 아니고 일본 황족어로 나왔기 때문에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들은 극소수였다. 게다가 일제강점기 36년을 거치고 3.1 운동 이후로 태극기를 모조리 압수당한지 20년이 넘게 지난 상황이었고 일제 말 병참기지화 정책으로 일본군들이 무기를 들고 시내를 돌아다니면서 조선인들을 위협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내로 나와 만세를 부를 생각을 도저히 할 형편이 못되었다고 한다. 그렇게 그날은 조용히 지나갔다. 8월 16일 다음날이 되자 비로소 조항 내용대로 형무소에 있었던 정치범과 경제범이 석방되기 시작했다. 그 때서야 경성(서울)시민들은 어제 방송이 히로히토 천황의 항복 방송인줄 알게 되었고, 해방을 환호하기 시작했다. 그대로 시민들은 계동에 있는 여운형의 집에 몰려가 연설을 해달라고 요구하였고 여운형은 바로 뒤에 있는 휘문 중학교 운동장으로 가서 해방을 맞이하는 연설을 한다. 1945년 8월 16일, 서울 계동 휘문고보의 군중 속 여운형. 여운형은 이곳에서 연설을 하였다. 그런데 연설도중에 소련군이 서울역에 온다는 소문이 나돌아 수많은 시민들이 연설 도중 청중들 사이에서 고함소리가 들렸다. 청중의 일각이 웅성거리는 가운데 여운형은 연설을 이어나갔으나 소련군의 경성 입성 소문은 순식간에 운동장을 한 바퀴 돌았다. 이에 흥분한 군중의 일부가 아우성치면서 교문 밖으로 달려 나가기 시작했다. 이렇게 하여 여운형의 이날 연설은 중단되고 말았다. 그래서 기록으로 전하는 연설문도 반 토막 뿐이다. 연설이 중단된 원인은 흔히 소련군의 경성 입성 소문 때문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상은 조선 사람들의 습격을 두려워한 조선총독부 관료들이 전향자들을 동원해서 벌였던 공작이었다. 곧 여운형은 기존에 자신이 1944년 8월에 결성하여 운영했던 비밀결사 조직인 조선건국동맹을 기본으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를 조직하였고 YMCA 건물에서 건준 강령을 발표하였다. 1. 우리는 완전한 독립국가의 건설을 기함. 1. 우리는 전 민족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기본 요구를 실현할 수 있는 민주주의적 정권의 수립을 기함, 1. 우리는 일시적 과도기에 있어서 국내 질서를 자주적으로 유지하며 대중생활의 확보를 기함. ▲. 당시 상황 1945년 8월 25일남산 국기게양대의 태극기 해방소식을 듣자 반일인사들을 옥에 가두고 고문했던 친일경찰들은 도망가기 바빴으며 일본군들은 미군에 의해 무장 해제되는 9월 9일까지 시내를 돌아다니며 해방을 환호하는 군중들에게 집으로 돌아가라고 지시하느라 분주하게 움직이면서 조선인들이 폭동을 일으킬 것을 염려해 비행기로 경거망동을 삼가라는 건준 명의의 삐라를 뿌렸다. 한편 건준은 8월 말까지 전국에 145개 지부를 두고 일본인 자본가와 지주로부터 재산과 토지를 접수하여 조선인들에게 배분하는 것을 도와주었으며 경찰들이 도망간 빈자리를 대신하여 전국의 뜻있는 청년들을 모집해 치안대를 결성해 치안을 유지하였다. 여기에 지방 경우는 사회주의 민족주의 등 이념을 떠나서 지방의 유력한 유지들 및 지주들 역시 적극적으로 나서서 건준에 활동하기도 했다. 경성 같은 경우 조선군사령부의 방해로 2중 정부와 같은 혼란이 야기되기도 했다. ●. 광복 이후 그러나 가혹한 압제로부터의 돌연한 광복은 과격한 흥분상태를 가져왔고 수많은 정당과 사회단체가 통일적 핵심체 없이 난립하게 되었다. 임시 정부가 곧 귀국하여 정권을 담당할 것을 기대하는 송진우 계통과, 연합군이 진주할 때까지 민족대표기관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여운형 계통과의 행동이 분열된 것이다. 이리하여 여운형 계통에서는 안재홍을 비롯한 일부 민족주의자와 공산주의자로서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했으며 이때 잔류한 좌익세력은 소위 인민공화국이라는 정권조직을 급조하여 한민당과 민족주의자들의 지지를 받던 충칭의 임시정부와 대립할 기세를 취했다. 한편 해외에서 독립운동 활동한 한국 광복군은 미군첩보부대 OSS와 함께 국내 진입작전을 추진하던 이범석, 장준하, 김준엽, 노능서 등 4명의 광복군 요원이 1945년 8월 18일 낮 여의도비행장에 착륙하면서 해방된 조국땅을 밟았다. 무장한 채 여의도에 착륙한 이들은 그러나 미군이 "휴전조약이 체결된 다음에 다시 오라"는 일본군의 협박에 굴복하는 바람에 다음날 오후 다시 중국으로 되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한국광복군을 비롯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5년 11월이 되어서야 귀국할 수 있었다. 국내에 있어서의 민족주의자와 공산주의자들의 대립이 첨예해갈 때에 미·소 양군이 각기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삼아 남북으로 갈라서 1945년 9월 한반도를 점령했다. 남북한을 분할 점령한 미·소 양군은 점령 지역에 군정을 실시하였다. 소련은 처음 조만식을 내세워 인민위원회를 조직케 하고 군정하의 행정을 담당케 하였으나 이어 김일성(金日成)을 위원장으로 하는 소위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를 조직 공산주의 정치 체제를 갖추어 나갔다. 한편 남한에 진주한 미군도 군정청을 설치하고 남한의 모든 행정을 담당하였다. 미군정은 정치활동의 자유를 허용하여 모든 한국인 정당에 대한 절대 중립 태도를 언명했다. 그리하여 송진우 등의 한국민주당 안재홍 등의 국민당 여운형 등의 조선인민당 박헌영(朴憲永) 등의 조선공산당을 위시한 50여 개의 정당이 난립하였다. 미국에서 이승만(李承晩)이 귀국하고 김구를 비롯한 임정요인들이 귀국하였으나 혼란은 여전하였다. ●. 매 체. 1. 國家報勳處 현충시설통합정보 알림이 2. 國家報勳處 열린마당 국민광장 참여사 진, 3. 國務總理室 자유게시판 4. 武功受勳者會 소통마당 자유게시판 5. 傷痍軍警회 컴뮤니티 자유게시판 6. 카페 全北道廳 신명이 모니터 7. 카페 全北道廳 행정 정보 공개 단 8. 카페 Pride 여산, 여산인 9. 카페 옛 그늘 文化遺産 10. 國防部 국민 공 감 나도 한마디, 독립기념관, E-Mail 동료 및 지인 홍보. ●.2013년 07월 30일. 國家報勳處 알림이 및 諮問委員 宋 哲 孝.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