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립기념행사

국가보훈부(국문) - 독립기념행사 상세보기 - 행사명, 행사목적, 행사일, 시간, 장소, 주최, 주관, 참석인원, 행사내용, 식순, 주요참석자, 성명, 생년월일, 주요공적, 서훈, 특이사항, 파일 정보 제공
행사명 헐버트박사 서거 59주기 추모식
행사목적 외국인으로서 우리 민족보다 더 우리 겨레를 사랑한 헐버트박사의 박애주의정신과 대한민국의 국권회복을 위해 헌신하신 업적을 추모하고 기리기 위함
행사일 2008-08-05
시간 11:00
장소 양화진 외국인묘지 내 한국기독교 선교100주년 기념교회
주최
주관 (사)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
참석인원 각계인사, 광복회원 등 200여명
행사내용 위 행사내용과 동일
식순 국민의례(국기에 대한 경례/미국국가/애국가/묵념) 약력보고/ 내빈소개/ 식 사/추모사/아리랑 감상/ 인사말/감사패 증정/유족근황/ 헌화 등
주요참석자 김형오 국회의장, 태미 오버비 주한미상공회의소 대표, 김을동의원, 강용석의원, 차창규 광복회 사무총장, 신영섭 마포구청장, 윤경빈 독립기념관 이사장, 서유석(가는세상 대표), 이석(조선조 마지막 왕손) 등
성명
생년월일 1863. 1. 26∼1949. 8. 5
주요공적 1905년 을사늑약 후 고종황제의 밀서를 휴대하고 미국 국무장관과 대통령을 면담을 하여 을사늑약의 무효와 한국의 자주독립을 주장하고자 하였고, 이듬해 「한국평론」을 통해 일본의 야심과 야만적 탄압을 폭로하는 등 독립운동에 앞장섰다. 1907년 네델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이준 열사 등이 고종황제의 밀사로 참석하여 각국 외교관 및 언론에 을사늑약의 무효와 국권회복을 호소하는데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서훈 1950년 독립장
특이사항 헐버트박사의 한글사랑의 징표인 "사민필지" 서문과 미국 Smithsonian협회 연례보고서에 기고한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기고문 전문 공개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