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립기념행사

국가보훈부(국문) - 독립기념행사 상세보기 - 행사명, 행사목적, 행사일, 시간, 장소, 주최, 주관, 참석인원, 행사내용, 식순, 주요참석자, 성명, 생년월일, 주요공적, 서훈, 특이사항, 파일 정보 제공
행사명 육사 이원록선생 순국 70주기 추념식
행사목적 일제 강점기 시와 독립 투쟁으로 민족혼을 드높인 육사 이원록 선생 순국 70주기 기일을 맞아 선생의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기고 후대에 계승하기 위함
행사일 2014-01-16
시간 11:00
장소 이육사문학관
주최 사)이육사추모사업회
주관 사)이육사추모사업회
참석인원 150명(주요인사20/일반시민80/회원50)
행사내용 <p>ㅇ 개회 및 국민의례<br> ㅇ 인사말(이육사추모사업회이사장)<br> ㅇ 헌시낭독(시민/문학낭송회)<br> ㅇ 연보봉독(손병희 안동대학교 교수)<br> ㅇ 추도사(임규호 안동보훈지청장)<br> ㅇ 추념사(권영세 안동시장)<br> ㅇ 육사 이원록선생 묘소 참배 <br></p>
식순 ㅇ 개회 및 국민의례 ㅇ 인사말(이육사추모사업회이사장) ㅇ 헌시낭독(시민/문학낭송회) ㅇ 연보봉독(손병희 안동대학교 교수) ㅇ 추도사(임규호 안동보훈지청장) ㅇ 추념사(권영세 안동시장) ㅇ 육사 이원록선생 묘소 참배
주요참석자 임규호 안동보훈지청장, 권영세 안동시장, 김병일 한국국학진흥원장 등
성명 이원록
생년월일 1904. 4. 4
주요공적 경북 안동(安東)사람으로 1926년 중국 북경 조선군관학교(朝鮮軍官學校)에 입교하여 제1기로 졸업하였던 그는 1927년 장진홍(張鎭弘)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탄투척사건에 연루되어 피체당하여 2년 7개월간 옥고를 겪었다. 그리고 1930년에는 다시 대구격문사건(大邱檄文事件)의 주모자로 지목받아 피체되어 6개월간 구금되었다. 그는 이후 1930년 말경, 중국 북경(北京)으로 가서 북경대학 사회학과(北京大學社會學科)를 졸업하고 〈중외일보(中外日報)〉와 ≪조광(朝光)≫ 등의 잡지에 시(詩)를 발표하면서 항일정신과 민족정신을 고취하는 활동을 하였다. 그후 그는 크고 작은 사건에 연루되어 17회에 걸쳐 피체되어 서울 등지에서 옥고를 치르다가 1944년 1월 16일 북경 감옥에서 옥중 순국하였다.
서훈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
특이사항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