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립기념행사

국가보훈부(국문) - 독립기념행사 상세보기 - 행사명, 행사목적, 행사일, 시간, 장소, 주최, 주관, 참석인원, 행사내용, 식순, 주요참석자, 성명, 생년월일, 주요공적, 서훈, 특이사항, 파일 정보 제공
행사명 창의 119주년 제천의병제
행사목적 - 제천 의병을 주제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시도를 통하여 지역축제로 자리매김 하였으며, 언론 및 인쇄물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적극적인 행사 홍보로 지역민의 관심을 불러일으킴 - 제천의병의 숨결 느껴보기, 나도 제천의병 등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다양한 시민체험 행사 진행으로 제천의병을 직접 체험하고 숭고한 희생정신을 되새기는 계기가 됨
행사일 2014-10-10
시간
장소 제천 야외음악당, 자양영당, 순국선열묘역 등
주최 (사)제천시문화예술위원회
주관 (사)제천시문화예술위원회
참석인원 10,000명
행사내용 <p>내용참조</p>
식순
주요참석자 충주보훈지청장, 3105부대장 및 관내주요기관단체장, 의병유족 등 500여명
성명 유인석
생년월일 1842. 1.27 ~ 1915. 1.29
주요공적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1842년 1월 27일 강원도 춘천 남면 가정(柯亭)에서 태어났는데 가정리는 고흥 유씨 일족의 집성촌(集姓村)이었다. 14세 때 양평의 화서 이항로(華西 李恒老)에게 글을 배웠는데 1868년 화서가 별세한 뒤 중암 김평묵(金平·)과 종숙인 성재 유중교(省齋 柳重敎)를 스승으로 모시며 위정척사(衛正斥邪)운동에 직접 참여하게 되었다. 화서의 문하에서 의병장이 가장 많아 나왔는데, 면암 최익현(勉菴 崔益鉉)·유중교·김평묵·의암 유인석 등이 그 정신을 이어받은 당대의 석학들이었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실천에 옮긴이가 의암으로서 병자조약에 반대 상소를 올린 바도 있었다. 의암은 병인양요 당시 25세의 청년으로 스승을 따라 서울에 머물고 있었으니 의병론 상소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0년 후 제천(堤川)에서 강학하고 있던 의암이 전기 의병운동의 상징적 존재로서 전국 의병진의 중심적 세력이 되었던 것은 필연적인 사실로 볼 수 있다.
서훈 대통령장 (62)
특이사항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