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설문

국가보훈부(국문) - 연설문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韓國光復軍 創軍 60周年 記念式 祝辭 (1/2)
오늘 한국광복군 창군 60주년을 맞아, 평소 존경하는 윤경빈 광복회장님과 김우전 한국광복군동지회장님, 그리고 각계의 내빈 여러분을 모신 자리에서 축하의 말씀을 드리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먼저, 일제에게 침탈당한 국권을 회복하고자 이국 땅에서 풍찬노숙하면서 독립운동에 혼신의 힘을 다하셨던 한국광복군동지회 회원 여러분께 충심으로 감사와 경의를 표하며, 유명을 달리하신 애국선열께도 삼가 머리 숙여 명복을 빕니다. 숱한 항일투쟁과 만고풍상을 겪으시면서 백발이 성성하고 주름 깊어진 광복군동지회 회원 여러분을 뵈오니, 지난날 뜨거운 애국심과 투지로 가득찼던 젊고 강인한 모습이 새삼 떠올라 깊은 감회와 함께 한없는 감동을 억누를 길 없습니다. 지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으로 숱한 약소국가들이 국권을 상실하였으나, 외국에 임시정부를 수립하여 27년간 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군대를 조직하고 무장항쟁을 펼친 것은 오직 우리 민족뿐 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무장독립전쟁의 중심에는 "한국광복군"이 있었습니다. 1940년 9월 17일 중국 중경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군"으로 창설된 한국광복군은 1943년 영국군과 연합하여 임팔전선에서 심리전 활동을 전개하는 등 실질적인 항일전쟁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1945년에는 미군과 합작하여 OSS특수훈련을 받고 한반도 진공작전을 수행하여 국권을 회복하려 하였으나, 안타깝게도 일제의 무조건 항복으로 자력에 의한 광복의 기회를 놓쳤던 것입니다. 한국광복군은 대한제국군과 의병, 만주의 독립군을 계승하였고 대한민국 건국 후에는 국군의 뿌리가 되었습니다. 아울러 광복군은 조국독립에 생명을 바치려는 자원결사대의 성격을 지녔을 뿐 아니라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중국이나 서구열강의 재정지원 없이 미주지역 동포의 성금만으로 창군한 우리 민족의 자주군대였습니다. 그 동안 한국광복군의 정통성과 역사적 의의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있었습니다만, 곧 이어 개최되는 학술회의에서 심도있는 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합니다. 참석자 여러분! 지금은 21세기 지식정보화, 세계화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가 국제적인 위상을 어떻게 갖는냐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처럼 중차대한 시점을 맞아, 정부는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그리고 생산적 복지를 3대 국정철학으로 하여, 4대 개혁과 정보강국 건설, 남북평화와 교류협력 등 5대 과제를 착실히 실천해 나가고 있습니다.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