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설문

국가보훈부(국문) - 연설문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2·8獨立宣言 第82周年 記念式 祝辭
존경하는 애국지사 여러분! 오늘 우리는『2·8 독립선언』82주년을 맞아, 일제의 심장부인 동경에서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을 세계만방에 선언한 애국선열들의 뜨거운 충절을 기리는 뜻깊은 자리를 함께 하고 있습니다. 먼저, 오늘 이 자리를 마련해 주신 서울 YMCA 표용은 이사장님과 한국독립유공자협회 민영수 회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애국선열들의 뜨거운 조국애를 기리고 계승하는 행사에 자리를 함께 해주신 YMCA 회원 여러분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돌이켜보면, 우리 겨레는 어떠한 외세의 침략에도 굴하지 않는 불굴의 용기와 신념을 지닌 자랑스러운 민족입니다. 지난 20세기 초, 우리 민족은 근대화의 물결에 밀려나 일제의 총칼 앞에 국권을 상실하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반만년 자주국가의 후예라는 민족적 자긍심을 바탕으로, 애국선열들이 중심이 되어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수많은 청년학도들이 신지식을 배우고 익혀 민족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습니다. 이들은 밤낮으로 뜨거운 향학열을 불태우며 자유와 평화, 인권존중사상, 그리고 민족자존의 소중함을 가슴깊이 새기면서, 도산 선생을 비롯한 민족지도자들의 강연을 들으며 조국을 위해 헌신할 것을 맹세하는 마음을 가다듬어 나갔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함께 윌슨의 민족자결주의가 주창되던 그 때, 1919년 2월 8일 동경 한복판의 조선기독교청년 회관에 운집한 400여명의 유학생들은 일제의 침략만행을 규탄하고 세계만방에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을 당당히 선포하였습니다. 이 날의 선언은 일제의 온갖 탄압에도 불구하고 한민족의 자주독립의지가 살아 숨쉬고 있음을 만천하에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학생독립운동의 효시로서 3·1독립운동, 6·10만세운동, 그리고 광주학생운동으로 이어지며 침체되었던 독립운동의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아울러 만주벌판에 수많은 독립운동단체가 조직되고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2·8독립선언은 젊은 학도들의 불굴의 애국정신을 보여준 독립운동사에 영원히 빛날 역사적 쾌거라 할 것입니다. 자리를 함께 하신 참석자 여러분! 지금 정부는 국민의 지지와 협조아래 기존에 추진중인 4대 개혁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변화된 남북관계를 한반도 평화정착과 민족번영으로 승화시켜 나가는데 진력하고 있습니다. 이번 세기를 위대한 한민족의 시대로 가꾸어 나가려는 이러한 노력이 소기의 결실을 거두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굳게 뭉쳐 민족의 역량을 한곳으로 결집시켜 나가는 국민적 지혜를 발휘해야 하겠습니다. 이에 정부는 선열들의 애국정신을 오늘에 되살려 국민통합과 공동체의식 함양의 원동력으로 삼아 나가기 위해 우리 사회에 보훈문화 확산노력을 적극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는 애국선열들의 나라사랑정신을 바탕으로 심기일전하여 자기 직분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이번 21세기에는 반드시 세계중심국가를 건설하여 우리 후손들에게 자랑스러운 조국을 물려주어야 하겠습니다. 그것만이 지난날 국권회복을 위해 일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았던 선열들의 위국헌신정신을 본받아 나가는 길이라고 굳게 믿습니다. 우리 모두 이 자리에서 "2·8독립선언"의 높은 뜻을 가슴속에 새겨, 조국과 민족을 위해 헌신할 것을 다짐합시다. 끝으로 이 자리에 참석해 주신 내외귀빈 여러분의 건승과 가정에 행운이 늘 함께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01. 2. 8 國家報勳處 次長 金 鍾 成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