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서부보훈지청

지(방)청소개

국가보훈부(국문) - 우리청소식(강원서부보훈지청)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중국 동북공정 "제 발등" 찍다
부서 보훈팀
중국의 동북공정은 2002년 2월부터 지난해 1월 말까지 5년간 진행됐다. 그 연구 결과가 흘러나올 때마다 국내 학계를 비롯, 신문·방송 등 언론에서는 한국 고대사에 대한 중국 측의 왜곡된 해석에 극렬히 반발했다. 하지만 중국 측은 여전히 자신의 의도를 굽히지 않고 "요하문명론"을 비롯한 새로운 형태로 후속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정옥자) 주최로 지난 14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진행된 "동북공정 전후 한국고대사 인식" 학술회의는 그동안 중국이 진행한 동북공정의 연구 결과를 총체적으로 검토하는 자리였다. 이날 학술회의에서 최광식 국립중앙박물관장(고려대 한국사학과)은 "동북공정 이후 중국의 한국 고대사 인식"이란 주제 발표문을 통해 동북공정의 연구 성과를 전반적으로 점검, 비판했다. 최 관장은 “중국은 동북공정을 통해 체계화한 고구려사 인식을 고조선사와 부여·발해사 등에도 적용시키고 있다”며 한국 고대사에 대한 중국 측의 시각을 상세하게 분석했다.

◆"동북공정의 핵심은 고구려"= 최 관장은 “(동북공정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집중하고 있는 주제는 고구려”라며 “동북공정을 통해 고구려를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단정, 공식적 견해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중국 측은 이에 대한 근거로 ▲고구려는 중국 영역 내의 민족이 건립한 지방정권이며 ▲몇 번의 천도(遷都)가 있었으나 한사군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했고 ▲고구려가 중국 역대 중앙왕조와 군신관계를 유지했으며 ▲"중국" 밖으로 벗어나기 위해 그 관계를 스스로 끊지 않았고 ▲고구려 멸망 후에 그 주체집단이 한족에 융합되었다는 점 등을 내세우고 있다.

최 관장은 그러나 “고구려의 족원(族源)은 중국 사서(史書)에서도 예맥족(濊貊族)이라 기록돼 있다”며 “이는 부여, 백제와 같은 종족”이라고 말했다. 또 조공-책봉 관계는 당시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상 외교적 형식에 불과하며 종주국과 복속국의 관계가 아니라고 반박했다. 최 관장은 이어 “중국은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을 중앙정권과 지방정권과의 내전이라고 강변하고 있으나 수나라는 고구려와의 전쟁에 패해 멸망했으며 이는 분명히 동아시아의 국제전이었다”며 “또 고구려의 유민이 당나라로 끌려갔기도 했지만 신라나 돌궐로도 갔으며 그 대부분은 고구려 지역에 남아 발해를 건국하는 주체세력과 주민구성에 참여했기 때문에 발해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고구려 - 고려의 계승 문제 = 중국 측은 고구려와 고려 및 조선족은 혼동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고구려의 고(高)씨와 고려의 왕(王)씨는 혈연적으로 다르며, 시간적으로 250년이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역사적 계승성이 없다는 것.

최 관장은 이에 대해 “고려는 고구려를 부흥한다는 계승의식 때문에 국호를 고려(高麗)라 하고 , 고구려의 도읍인 서경(평양)을 중요시했던 것”이라며 “만약 성씨가 같지 않아 계승성이 없다고 한다면 중국의 왕조는 한족과 북방민족이 번갈아가며 중원을 차지했으므로 계승성이 전혀 없다고 해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제천(祭天)의례에 주목해야 = 최 관장은 “위·촉·오의 역사를 다룬 삼국지 동이전에 부여, 고구려, 예, 삼한의 경우 제천대회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며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천, 삼한의 계절제 등 제천의례는 천신에 제사를 지내는 의례로, 거국적으로 치러진 대규모 행사였다”고 밝혔다. 오직 황제만이 하늘에 제사를 지낼 수 있다는 입장에서 볼 때, 제천의례가 치러졌다는 것은 이 나라들이 제후국이 아닌 독자적인 정체임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따라서 “제천의례를 지낸 고구려와 부여 및 동예, 마한은 중국과 다른 천하관을 가진 독립국가였다는 것이 중국인이 남긴 당시의 기록에서 확인되는 것”이라고 최 관장은 강조했다.

광개토대왕비의 "천제지자(天帝之子)"라는 표현은 고구려가 독자적인 천하관을 갖고 있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광개토대왕과 장수왕 대에 각각 "영락(永樂)"과 "연가(延嘉)"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다는 점도 이 같은 점을 뒷받침한다.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