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청소식

지(방)청소개

국가보훈부(국문) - 우리청소식(대구지방보훈청)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1월 둘째주 탐방 - 왕산허위선생 유허비
부서 지도과
허위선생유허비(許蔿先生遺墟碑) 소재지 : 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24(금오산도립공원 내) 건립기관 : 구미시('구' 선산군) 건립일자 : 1975. 10. 21 시설규모 : 높이 3.2m □ 관리기관 : 구미시 □ 내용 구한말 대표적인 의병인 13도연합의병부대의 군사장으로 활약하신 허위선생의 유적이 있던 곳을 기념하는 비석이다. 1975년 선산군에서 건립한 것을 2001년 구미시에서 비각을 세우고, 안내판을 설치하는 등 새로 단장하였다. 왕산 허위(旺山 許蔿, 1854.4.1-1908.9.27)은 1897년 의병을 일으켜 김천과 충북 진천 등에서 활동하였고, 을사조약이 체결된 후 1907년 고종이 강제 퇴위되고 군대가 해산당하자 고종의 밀지를 받고 경기도에서 의병을 모아 포천, 연천, 철원 등지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다. 경기도 양주에서 13도연합의병부대를 결성하여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허위는 군사장이 되어 서울진공작전을 감행하여 서울 성문 밖 30리까지 진격하였으나 일본 군대와의 전투에서 패전하여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 1908년 임진강 유역에서 의병연합부대를 재정비하여 총대장에 취임한 후 군표를 발행하여 군수 물자를 조달하고 유격전술로 소단위 부대를 편성하여 항일투쟁을 계속하였으며, 1908년 5월에는 한국민의 기본요구조건 30개 항목을 만들어 통감부에 요구하는 등 구국운동을 하시다가 일본군에 체포되어 서대문감옥에 수감되었다가 1908년 9월 27일 교수대에 올라 순국하셨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국가보훈처에서는 2004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허위선생을 선정하여 선생의 출신지인 구미시와 연계하여 선생의 숭고한 애국애족정신을 되살리고 추모하는 학술강연회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