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북동부보훈지청

지(방)청소개

국가보훈부(국문) - 우리청소식(전북동부보훈지청)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전주) 한국광복군
부서 보훈과

한국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항일군대다. 1932년 이후 임시정부의 규모는 축소되었고 재정상 운영의 내용도 부실하였다. 더욱이 1937년 중 ·일전쟁이 발발하자, 중국 각지에 흩어져 독립운동을 하던 애국단체들은 충칭에 이전한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통일된 군사활동과 외교활동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하여 광복군이 조직되었는데, 광복군의 편성문제는 치장에 있을 때부터 추진되어 오던 일로서, 군사특파단을 시안에 파견하는 한편, 광복군은 많은 경비가 필요한 군사조직이므로, 중국정부의 양해를 얻는 교섭을 벌였다. 중국정부는 공식적으로 광복군의 조직을 찬성하였지만, 한편으로 임시정부와 분열 상태에 있는 김원봉계의 조선의용군과 이미 합동하여 모호한 입장을 취하였다.

이에 임시정부는 1940년 충칭 가릉빈관에서 한국광복군총사령부의 성립전례를 가지고 우선적으로 광복군을 발족시켰다. 발족일을 전후하여 광복군 조직의 포고문과 그 밖의 선전 전단이 배포되었고, 임시의정원에서는 관계법규를 정비하였으며, 총사령에는 이청천, 참모장에 이범석이 취임하였다.

광복군의 편성은 임시정부에서 제정한 군사법규인 육군임시군제 ·육군임시군구제· 임시육군무관학교조례 ·군사경위근무조례 ·경위근무세칙 ·군무부임시편집위원부규정 등 군사활동의 기초를 마련하는 규정에 따랐다. 광복군은 3개의 지대로 편성되었는데, 제1지대장에 이준식, 제2지대장 공진원, 제3지대장 김학규가 취임하였다. 또, 41년 1월에는 제5지대가 편성되어 나월환이 통솔하였는데, 제5지대는 원래 전지 공작원들이 많아 편성 후에도 주로 전후방 공작업무를 수행하였다. 소대 ·중대 ·대대 ·연대 ·여단 ·사단 등의 6단으로 기본적인 편성이 되었다. 또한 《광복》이라는 간행물을 발행하는 한편, 방송과 선전지를 전후방에 살포하여 애국 청년은 물론 일본군에 징병되어 온 한국청년을 유치하는 데에도 힘썼다.

1941년 11월에는 중국정부 군사위원회에서 광복군은 항일작전 기간 중에는 중국 군사위원회에 직속되어야 한다는 등 9개 항의 조건을 내세워 지원을 제의해 왔으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가, 1941년 12윌 1일 수락선언문을 발표하여 군수물자의 충당은 일단 해결되었다.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1941년 12월 9일 대일선전을 정식으로 포고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분열상태에 있던 공산진영과의 합류가 추진되어 1942년 7월에 김원봉의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되었고, 김원봉은 광복군 부사령에 취임하였다.

중국 군사위원회에 예속되어 있던 광복군은 1944년 8월에 임시정부로 이관되어 임시정부 통수부가 통할하게 되었다. 광복 직전에는 한미합동작전으로 국내 정진대를 편성하여 진격하려다가 출동 시기가 임박하여 일제가 항복함으로써 실현되지 못하였으며, 해방 후 일부는 귀국하였다.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