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지방보훈청

지(방)청소개

국가보훈부(국문) - 우리청소식(서울지방보훈청)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서울) 순국선열의 날을 맞이하여
부서 지도과
순국선열의 날을 맞이하여 서울지방보훈청 지도과 길록용 오는 11월17일은 제67회 순국선열의 날이다 일제에 빼앗긴 국권을 회복하기 위하여 헌신하신 많은 독립유공자 중 일신과 가족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구국의 제단에 목숨을 바치신 순국선열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애국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 선열의 얼과 위훈을 기리기 위하여 제정한 법정기념일인 것이다. 1905년 11월17일 을사보호조약이 늑결(勒結)되어 일제에 사실상 국권을 빼앗기게 되자, 이날을 전후하여 수많은 선열들이 나라를 구하기 위해 용감히 싸우다가 순국하였으며 1939년 한국독립운동의 구심점이었던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 제31회 총회에서 11월17일을 「순국선열공동기념일」로 정하고 매년 기념행사를 거행하여 왔다 1945년 광복 이후에는 순국선열 단체에서 민간 주도로 기념식을 거행하여 오다가 1997년 5월 9일 뒤늦게나마 정부에서 법정기념일로 정하여 범정부적인 행사로 거행하고 있다 “순국선열”이라 함은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하기 위하여 항거하다가 순국한 의사, 열사를 뜻하며 1895년부터 1945년까지 순국하신 선열은 기록상 약 9만6천여명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문헌상 확인된 수임을 감안할 때 실제로 순국하신 선열은 30여만명이 훨씬 넘는다고 하니 비장한 마음이 드는 한편 얼마나 용기있고 자존심 강한 민족의 후예인지를 새삼 깨닫게 된다 건국 이래 최대의 위기였던 일제침략기에 풍전등화처럼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던 시절에도 오로지 나라사랑하는 마음으로 일제의 압력에도 굴하지 않았던 선열들의 애국정신이야말로 우리민족의 정신적 가치이며 보배라 하겠다 불굴의 민족혼으로 국권을 회복하여 후손에게 물려준 선열들의 공훈은 우리 민족정기의 결정체이며 광복 이후에도 어느 민족보다도 짧은 기간 내에 일어서서 자유와 평화를 꽃피우고 수많은 시련을 극복케 한 정신적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지금 우리는 북한의 핵실험과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조치로 국제사회가 극도의 긴장과 위기의 국면에 처해 있다 나라 안팎의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이 난국의 문제들을 슬기롭게 풀어가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이며 다시 한번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모든 역량을 결집시켜 국민통합을 이루어야겠다. 우리에겐 순국선열의 뜨거운 피가 흐르고 있으며, 고귀한 애국심과 희생정신이 흐르고 있다 그 분들의 민족혼이 든든하게 우리를 받쳐주고 있는 한 그 어떤 시련이 두려우며, 변화와 도전이 두렵겠는가?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다시 한번 순국선열의 애국심과 위훈을 생각하며 경건한 마음으로 넋을 추모하고 공훈을 기리며 오늘의 난관을 슬기롭게 극복 해야겠다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