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청소식

지(방)청소개

국가보훈부(국문) - 우리청소식(서울남부보훈지청)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남부) 변화와 혁신 측면의 3.1운동(기고)
부서 보훈과
서울남부보훈지청 보상과 서승우
 변화와 변절 단 한 글자가 다른  단어이지만 그뜻은 너무나 확연하게 다르다. 변화는 달라지는 환경에 적응하거나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바뀌어 달라짐으로 스스로를 혁신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건설적인 뜻이 담겨져있음에 반하여 변절은 변화와 혁신 보다는 현실에 안주하며 눈앞의 이익을 쫓아 자신의 절개나 지조를 꺾는 부정적의미의 말이다.
 개항기의 우리나라는  어느때보다 변화와 혁신이 필요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변화는 없었고  변절만이 있었기에 나라를 일제에게 빼앗기는 치욕을 당하고 말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3·1운동을 계기로 변화와 혁신의 길로 들어서서 독립의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3·1운동을 계기로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민족 해방운동의 주도권이 점차 민중의 손으로 넘어가고 독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  민족이 일치단결해야한다는 정신적 기반을 확고히 마련할 수 있었다.
 3·1운동은  무장독립운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하는 계기가 되었고 수많은 농민들과 노동자들이 3·1운동에 가담하는 과정에서 사회의식이 크게 높아져서 1920년대 독립운동의 성격을 농민운동과 노동운동의 전개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3·1운동을 단순히 1회성 독립만세 운동으로만 보아서는 안된다.
 3·1운동은 변화와 혁신의 계기가 되었으며 그 변화와 혁신으로 우리나라는 독립을 이루어 낼 수 있었다.
 지금의 현실도 개항기 때와 많이 닮아 있다. 국제사회는 우리나라의 무한개방을 요구하고 우리나라 안에서는 개방찬성과 개방반대의 목소리가 엇갈리고 있으며 세계화의 가면을 쓰고 변절하는 사람이 존재한다.
 그 옛날 개항기에 우리나라가 살아남는 길이 개화파의 무조건개화나 척화파의무조건척화가 아니고 우리스스로 힘을 기르고 변화하고 혁신하는 길이었듯이
지금의 우리가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국제사회의 무한 경쟁에서 살아남는 길은 오직 변화와 혁신하는 길뿐이다.
 그렇다고 우리의 정신까지 꺾는 변절이 되어서는 안된다.
 이런점에서 3·1운동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나라를 되찾기 위해 희생하신 순국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오늘에 계승하여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 그 첫째요 성공적인 변화와 혁신의 출발점으로서가 그 둘째다.
 어렵고 힘든시기를 헤쳐나가야 하는 우리에게 3·1운동은 애국애족의 민족정기함양의 측면 과 더불어 변화와 혁신을 통한 국가발전의 원동력 창출이란 측면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 할 수 있다. 우리는 3·1정신의 계승발전을 통해서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고 변화와 혁신을 통한 국가발전의 원동력 창출을 이루어 국제사회에서 확고한 대한민국의 위상을 정립해야 겠다.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