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청소식

지(방)청소개

국가보훈부(국문) - 우리청소식(대구지방보훈청)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5월 첫째주 탐방 - 이은여공채룡유허비
부서 지도과
이은여공채룡유허비(二隱呂公采龍遺墟碑) □ 소재지 : 경북 김천시 구성면 금평리(팔곡 마을앞 도로변) □ 건립기관 : 금산향교 □ 건립일자 : 1946. 3. 1 □ 시설규모 : 높이 1.5m □ 관리기관 : 김천시 □ 내용 여채룡 선생(1866.12.16 / 1936. 5.21)은 경상북도 금릉군 구성면 금평동 출신으로 구한말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며, 국권상실 후에도 일제에 항거한 독립운동가이다. 을미사변이 발생하자 1896년 금산향교에서 허위, 여중용, 이병구 등과 의거를 일으켜 김천시 부항면 대야리에서 관군과 싸워 패하였다. 망국의 한을 깊이 간직하였다가 1921년 12월 조선총독에게 애국가(哀國歌) 및 포고문(布告文) 그리고 일왕 10죄론(日王十罪論) 등 설유문서(說諭文書)를 발송하였다. 한편 동지를 규합하여 국권회복을 도모하고자 애국가(哀國歌)·창의 통고문(倡義通告文) 등을 작성하여 평양 등 12개소의 향교에 발송하였다. 이상 일련의 항일투쟁이 적에게 발각되어 일경에 체포되었다. 1924년 2월 25일 대구지방법원 김천(金泉)지청에서 소위 '제령(制令) 제7호위반' 혐의로 징역 10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1928년부터는 일제하의 납세를 거부했으며 전답에서 생산되는 곡식마저 먹지 않으려고 마을 뒷산에 들어가 움막을 짓고 초근 목피로 연명하다 입산 9년만에 순국하였다. 인근 지역의 유림들이 유림장으로 장례를 치르고 조선의사라고 칭송하며 의사의 유지를 길이 되새기려 유허비를 세웠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