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청소식

지(방)청소개

국가보훈부(국문) - 우리청소식(경북남부보훈지청)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경주)산남의진 애국지사 추모비 제막식
부서 보훈과
을사늑약 국권침탈 온나라가 분노할제 / 고종황제 밀지받아 동영부자 창의하니 / 산남의진 깃발아래 구름처럼 모인의병 / 국권회복 앞장서신 다섯분의 애국지사 / 동에번쩍 서에번쩍 적의간담 서늘하니 / 구국향한 혁혁한공 그뉘라서 잊을소냐 / 광복조국 나라에선 공적기려 포숭하고 / 후손들은 정성모아 옥돌가려 비세우니 / 천년만세 영원토록 남긴뜻을 가리리라 국권회복을 위해 항일투쟁을 전개하시다가 순국하신 박한종·조상환·최치환·전응팔·강봉학 애국지사의 추모비 제막식이 지난 11월 24일 자양면 용산리에서 열렸다. 영천항일독립운동선양사업회에서 주관하고 경주보훈지청, 경상북도, 영천시, 광복회, 순국선열유족회에서 후원하고 있는 이번 추모비 제막식은 이희범 경주보훈지청장, 윤호정 경상북도 보건복지여성국장, 임상원 영천시의회의장, 정은식 영천경찰서장, 류기형 행정지원국장 등 기관단체장과 권준호 광복회 대구경북지부장을 비롯한 독립운동 관련단체 임원 및 유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애국지사들의 숭고한 항일독립 정신을 기렸다. 산남의진은 을사늑약이 일제에 의해 강제로 체결된 직후 고종황제의 밀명을 받고 정환직·정용기 부자에 의해 영천에서 거의한 의병조직이다. 의진의 활동범위도 경상북도 일대를 중심으로 경상남도의 일부지역까지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을 거점으로 삼아 활동하였다. 그리고 산남의진의 활동 목표는 영남지역에서 거의하여 관동지방으로 북상, 그곳의 의병부대와 연합하여 서울로 진격하는데 있었다. 이는 비록 준비 단계에서 좌절되었지만 후일 13도 의병연합부대의 결성과 서울진공작전의 단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강봉학·박한종·전응팔·조상환·최치환 애국지사는 정환직·정용기 선생 부자에 의해 창의된 산남의진에 투신하시어 국권회복을 위한 일념으로 대일무장 항쟁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이번 추모비 건립을 마지막으로 정환직·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비 및 충효동사적비를 비롯한 기존의 기저비 추모비를 포함, 35분의 영천항일운동가의 추모비를 모두 세우게 됨으로써 개별추모비 사업을 마무리 시키게 되며 12월 중에 산남의진창의100주년을 기념 한 학술강연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