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청소식

지(방)청소개

국가보훈부(국문) - 우리청소식(전남동부보훈지청)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순천보훈지청) 2011년 10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김규식 선생
부서 선양팀

 

 

 

10월의 독립운동가 김규식(金奎植) 선생

(1882. 1. 15. 1931. 3. 23.)

◈ 청산리대첩 지휘관 ◈

 

 국가보훈처는 광복회와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독립운동가 김규식(金奎植, 1882년 1월 15일~1931년 3월 23일)선생을 2011년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호는 노은(蘆隱)이며 이명(異名)은 서도(瑞道)이고 별명은 호장군(虎將軍)이다. 1882년 경기도 양주(楊州)군 구리면 사노동 281번지(현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281-14번지)에서 출생하였으며, 아버지는 김영선(金永先)이다.

 

 한말 대한제국군 육군 참위(參尉)로 복무하다 1907년 한일신협약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강원도 철원에서 흩어진 군인을 규합하여 의병활동을 펼쳤다. 1908년 1월, 13도 연합의병부대의 일원으로 서울진공작전에 참가, 양주와 철원을 근거지로 일본군과 싸워 큰 전과를 올렸다. 그 후 노령(露領)에서 무기를 구입하려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919년 8월 서일(徐一)· 김좌진(金佐鎭) 등과 함께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를 조직하여 사단장으로 무장항일투쟁에 앞장섰으며, 북로군정서에서 왕청현[旺淸縣] 십리평(十里坪)에 세운 사관연성소(士官鍊成所) 교관이 되어 김좌진· 이범석(李範奭) 등과 함께 청년교육에 힘썼다.


 1920년 10월에는 북로군정서 제2연대 제1대대장으로 청산리전투(靑山里戰鬪)에 참가하여 일본군을 대파하였고, 이어 12월 밀산[密山]에서 독자적인 활동을 하던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대한신민회(大韓新民會) 등 여러 독립군 단체를 통합해 결성한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의 총사령관이 되어 3,500여 명의 독립군을 이끌고 러시아령(領) 자유시(自由市)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1921년 6월 자유시사변(自由市事變)으로 무장해제를 당한 뒤 다시 옌지현[延吉縣]으로 돌아와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노병회의 지원을 받아 망명군을 재편성하는 한편, 1923년 5월 고평(高平)·이범석 등과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을 조직하고 총사령관으로서 영농과 군사훈련을 강화하여 항일투쟁을 계속하였다. 또한 1925년에는 김좌진· 김혁(金赫) 등이 북만주 닝안현[寧安縣]에 조직한 신민부(新民府)에 가담하였고, 1926년 4월에는 지린성[吉林省]에 결성된 고려혁명당(高麗革命黨)의 중앙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 뒤 조국의 독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2세 교육이 필요함을 절감하고 옌서우현[延壽縣]에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에 힘썼다. 그러나 1931년 4월 10일 학교운영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주허현[珠河縣]으로 가 최악(崔岳)· 홍진(洪震)· 신숙(申肅) 등을 만난 후 공산주의로 전향한 최악의 사주를 받은 공산당원에게 피살되었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파일
URL